본문 바로가기
영화

외계+인 1부 - 좋은 재료 다 넣는다고 맛있는 음식이 나오진 않는다.

by BaekJa 2022. 7. 21.
반응형

소개

2022년 현재, ‘가드’(김우빈)’와 ‘썬더’는 인간의 몸에 가두어진 외계인 죄수를 관리하며 지구에 살고 있다. 어느 날, 서울 상공에 우주선이 나타나고 형사 ‘문도석’(소지섭)은 기이한 광경을 목격하게 되는데.. 한편, 630년 전 고려에선 얼치기 도사 ‘무륵’(류준열)과 천둥 쏘는 처자 ‘이안’(김태리)이 엄청난 현상금이 걸린 신검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를 속고 속이는 가운데 신검의 비밀을 찾는 두 신선 ‘흑설’(염정아)과 ‘청운’(조우진), 가면 속의 ‘자장’(김의성)도 신검 쟁탈전에 나선다. 그리고 우주선이 깊은 계곡에서 빛을 내며 떠오르는데… 2022년 인간 속에 수감된 외계인 죄수를 쫓는 이들 1391년 고려 말 소문 속의 신검을 차지하려는 도사들 시간의 문이 열리고 모든 것이 바뀌기 시작했다!

감독: 최동훈

배우: 류준열, 김우빈, 김태리, 소지섭, 염정아, 조우진, 김의성 등

7월 기대작이면서 우려작이었던 외계+인 이다.

제목만 봐도 장르가 가늠이 안갈 영화이며 네임드의 주연급 배우들이 대거 등장한다. 

장르의 모호성 2편까지 한번에 제작, 한국영화치곤 엄청난 제작비 등등을 감안한 영화이다.

마블의 나라라고 하는 한국에서 토르도 힘을 못쓰고 있는 판국인데 과연... 외계인은..

필자 범죄의재구성과 타짜는 좋게보았지만 도둑들은 고개를 갸우뚱했다. 암살은 무난히 괜찮았지만 

흥행에 있어서는 일가견이 있는 최동훈감독의 외계+인 장단점을 살펴보자.

장점

1.소재

한국영화에서 기존에 잘 보지못했던 외계인과 사극의 퓨전? 이라고 할수있는 sf같은... 액션이면서 판타지면서 뭐 그런 영화인데 사실 시도에 높은 점수를 준다. 어벤져스같은 영화를 만들고 싶어했다고 하는데 소재적인 부분이나 이야기의 구성부분에서는 참신했다.

대부분 일상이나 조폭같은 영화들이 많은 한국영화에서 새로운 장르를 여는 시작점이 될수도..

2. CG

CG액션들은 좋았다. 뭐 최고의 CG영화들하고 비교할정도까진 아니지만 근래 한국영화 CG들중에선 제일이었던거같고 액션들도 참신하니 좋았다.

3. 염정아, 조우진

장점은 여기까지이다. 단점에서도 서술할텐데 캐릭터들이 거의 다 돋보이지않는다.

염정아와 조우진이 맡은 흑설과 청운정도의 캐릭터만 기억이 날 정도다.

기존의 최동훈 감독의 영화들의 많은 배역들 고니, 아귀, 정마담,씹던껌, 전우치,속사포, 하와이피스톨 같은 인상 깊은 배역들을 많이 만들어냈는데 이 영화엔 기억에 남을만한건 이 둘뿐.. 

단점

1. 유치한 개그와 대사

생각보다 안터진다. 터지라고 만든 장면이 보이는데도 입꼬리조차 올라가지 않는다.

염정아와 조우진이 연기한 흑설 청운정도의 중후반씬이 살짝 피식할뿐 전체적인 타율이 좋지않다.

2. 들리지 않는 대사 

몇몇 대사들은 제대로 들리지않는다. 몇몇 배우들의 대사가 제대로 들리지않고 후에 외계인 대사쪽의 대사도 명확하게 들리지않는다. 후시녹음을 안해서 그런가.. 후반부에는 뭐라고 하는지 못들은 대사가 꽤 된다.

3. 난잡하다.

2편까지 봐야 평은 정확하겠으나 1편에 너무많은 서사를 담는다.

전개를 1편에서 시키려고 스토리는 진행이 되지만 몰입은 안되고 과거 현재를 왔다갔다하는 부분이 매끄럽지 않다.

후에 반전도 아마 영화좀 보신분들은 진작에 파악했을듯 후반부에 임팩트도 덜하고 캐릭터들의 개성은 살아나지 못한다.

어디선가 본거같은 인물들이 즐비하고 유머용으로 넣은 패러디 장면들도 전혀 웃기지않는다. 

4. 죽어버린 캐릭터의 개성

장점3에 있던 염정아와 조우진 빼고는 캐릭터들의 개성은 많이 죽은 느낌

대부분의 전개를 위해 캐릭터들이 희생되는 느낌 약간은 유치한 대사들로 인해 배우들의 캐릭터까지 죽어버렸다.

그나마 남은게 염정아와 조우진 캐릭터뿐 캐릭터들이 전개에 희생되다보니 김우빈이 맡은 역할등의 행동에 공감이 크게 가지못한다. 각각 인물들의 서사에는 몰입하기가 힘든구조이다.

배우들의 문제라기 보단 전개에 희생되버린 캐릭터 구조가 문제인듯.

 

<평점>

★☆

2편을 위한 빌드업이라고 하니 2편을 봐야겠지만

차라리 단독영화를 내고 합치는게 나았을수도 있겠다.

좋은 배우들을 많이 썼지만 기억나는 배역은 많지 않고

유머의 적중률도 떨어져버린 그야말고 난잡한 영화

그리고 꼭 나오는 하지말라는짓 하는 발암캐릭터는 진짜 짜증유발이었다.

참고로 쿠키는 바로 나오는 1개이다.

반응형

댓글